제가 읽거나 시청한 전문가분들의 견해와 저의 관점을 정리하는 블로그이므로, 신뢰는 하지 마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1. 브리핑(두 가지 기사를 읽고)
- 정부는 2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제3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글로벌 K-팹리스 육성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방안’을 발표.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해 차세대 전력 반도체인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반도체 정부 R&D를 지속 지원키로함.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반도체는 기존의 Si(실리콘) 대비 높은 내구성과 전력 효율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
- 투자전문회사 SK㈜(대표이사 장동현)가 첨단소재 분야 핵심 영역이자 전자기기, 전기차, 수소차 등의 필수 부품으로 시장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실리콘카바이드(SiC·탄화규소) 전력 반도체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SK㈜는 차세대 핵심 부품·소재인 SiC 전력반도체 분야의 국내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예스파워테크닉스에 268억원을 투자해 지분 33.6%를 인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출처: www.sk.co.kr/ko/media/news_view.jsp?pageNo=1&idx=1481&s_reg_date=&e_reg_date=&fc_idx=&pop_s_reg_date=&pop_e_reg_date=&s_kind=subject&s_value=
=>쉽게 쉽게 이해하자면 :
전력 반도체인 SiC(실리콘카바이드), GaN(질화갈륨) 반도체... 너무 어렵습니다.
우선 전력반도체란 전력이 필요한 전자제품, 전기차, 수소차, 5G 통신망 등의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필수 반도체.
SiC전력반도체는 기술난이도와 진입장벽이 높은 첨단소재 분야이나 고온과 고전압의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한 기술로 SiC전력반도체가 기존 전력 반도체 시장 실리콘Si을 대체할 것.
정부가 Sic, GaN 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린다고 발표함에 따라 연구개발 및 인프라 증설에 지원할 것이니까 이와 관련된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 수혜를 입게 되겠지요. 국내 관련 기업에는 실리콘웍스, 예스티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 중에서도 해당 사업에 투자를 선제적으로 투자를 많이 했다고 하는데 그 중 SK가 대표적으로 에스파워테크닉스(SiC디바이스 연구개발업체)에 투자하였는데 국내 기업으로는 예스파워테크닉스가 유일하게 SiC전력반도체 생산 체계를 구축했다고 합니다. SK는 어떻게 이렇게 귀신같이 이런 귀한 기업을 찾아내서 투자를 미리미리 해놓았던 것일까요? 정말 최태원회장님 M&A천재설이 진실인가...
SK㈜이 국내 대기업에서 찾아볼 수 없었던 투자전문지주사로 변모하는 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업에 투자할 수 있어서 소액주주이지만 자랑스럽습니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 기대되네요.
2.종목
SK-앞서 말한 앞을 내다본 듯한 미래산업에 대한 다수의 선제적 투자와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기대감으로 있습니다.
미래산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로는,
SK E&S와 함께 플러그파워(미국 수소에너지 기업)에 공동 투자.
왓슨(중국 1위 동박제조업체)에 2019년 4월 약 2700억을 투자하였고 2020년 7월 1000억을 추가로 투자하여 2대주주의 위치를 점함.
계열사 SKC는 2019년 6월 '동박'의 글로벌 1위 제조회사 KCFT 인수.
중국 지리자동차와 공동펀드를 설립할 예정. SK차이나(SK그룹의 중국 지주회사)는 2020년 6월 비야디반도체(중국전기차 기업 비야디의 자회사로 전력변환 반도체부품 생산)에 약 257억원(1억5천만 위안)을 투자하여 지분 1.47% 확보.
자율주행차 관련 이스라엘의 스타트업 '오토노모', 국내 승차공유 플랫폼기업 '쏘카', 글로벌 승차공유 플랫폼 '그랩'에도 투자.
SK팜테코(SK(주)가 지분 100%를 보유한 CMO통합법인)는 올해 1분기 중으로 이포스케시(프랑스 CMO기업)의 지분 70% 인수.
SK바이오사이언스는 2021년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도 진행 중.
*동박: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핵심소재 가운데 하나로 구리를 첨단기술로 얇게 만든 막.
*바이오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바이오 의약품을 위탁생산하는 의약품 전문 생산사업. 전자업계의 OEM이나 반도체의 파운드리와 유사한 개념이다. 바이오 CMO도 대규모 수주가 사업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장기 생산물량을 조기에 확보하는게 핵심이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바이오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한경 경제용어사전)
지배구조 개편에 대해서는,
최근 언론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데 핵심은 SK텔레콤와 SK하이닉스를 갈라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2020년 12월 개정된 공정거래법에 따르면 SK의 자회사인 SK텔레콤이 SK하이닉스의 추가적인 지분을 확보하지 않고 SK의 손자회사가 아닌 자회사로 만들고 싶다면 해당 절차를 올해 안에 마쳐야합니다. 자회사인 SK하이닉스 매출이 SK텔레콤보다 2배정도 크기 때문에 추가적인 지분을 확보하려면 자금부담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SK텔레콤의 분할방식은 물적분할 방식과 인적분할 방식 중 인적분할 방식이 가능성이 높을 것. SK 및 SK텔레콤 주주의 가치 훼손이 적으며 삼성증권 양일우 애널님의 레포트에 따르면 SK주주의 지분희석이 최소화 되기 위해서는 순수하게 SK하이닉스의 투자회사만 별도법인으로 분할한 뒤 SK와 합병하는 방식이 가장 유리하며 SK의 주당 NAV는 분할 합병 이후에 약 10% 가량 증가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3.오늘의 용어
NAV-순자산가치(=청산가치). 주당순자산가치는 기업이 청산될 때 회사의 자산이 주당 얼마만큼 남는가를 알려주는 지표다. 기업의 자산(현금, 어음, 재고)에 부채(현재부채, 장기부채, 우선주, 일시차입금)를 뺀 금액으로 계산한다. 보통 대부분의 펀드들은 하루에 한 번 공시되는 펀드의 순자산가치에 의해 기준가격이 결정되고 이 기준가격으로 펀드의 매입과 환매가 이루어진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NAV (매일경제, 매경닷컴)
4.저장을 누르기 전에
매우 사적인 관점에서 본 SK에 대한 시각입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 SK에 대한 투자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하시게 되셨다면 공부해보시면 좋을 종목이라고 생각됩니다. 4차혁명은 지금 눈으로 보이기 시작했고 저희는 그 혁명과 함께하는 기업을 찾고 투자할 수 있는 좋은 시점이니까요. SK는 우리나라에서 계열사를 가장 많이 거느린 기업입니다. 저는 당연히 삼성일줄 알았썼드랬습니다... 이래서 어림짐작은 안된다니까요. SK관련 SKC도 너무 좋고 SK하이닉스도 너무 좋은데 종목이 너무 많네요. 그래서 저는 이 모든 기업에서 과실을 얻을 SK입니다.
'주식투자하는 동학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021-02-10 브리핑/ 이지바이오 / EPS-주당순이익 (0) | 2021.02.10 |
---|---|
5.2021-02-08 브리핑/ 쌍용양회/ PBR-주가순자산비율 (0) | 2021.02.05 |
3.2021-02-01 조정장을 만났을 때... (0) | 2021.01.29 |
2.2021-01-28 브리핑/ 녹십자,삼성전기,KG모빌리언스/ MSCI지수 (0) | 2021.01.28 |
1.2021-01-21 브리핑/ LG전자,네오위즈/ PER (0) | 2021.01.21 |